디지털 기술의 급속한 발전은 우리의 삶을 편리하게 만들고 있지만, 그 변화가 과연 모든 사람에게 동등한 기회를 제공하고 있는지는 여전히 의문으로 남아 있다. 특히 장애인을 포함한 디지털 취약계층은 디지털 환경에서 여러 가지 어려움에 직면하고 있다.
이러한 문제를 심도 있게 논의하기 위해 10월 29일(화) 이룸센터에서 열린 ‘디지털포용, 어디까지 왔나?’ 정책 세미나는 디지털포용에 대한 국내외 현황을 분석하고 발전 방향에 대한 중요한 논의의 장을 열었다. 다양한 전문가들이 디지털 접근과 포용의 필요성을 강조하며 각자의 관점에서 의견을 공유하였다.
이연주 사무총장(한국시각장애인연합회)은 장애당사자가 겪는 디지털 접근의 현실적 어려움을 언급하며, 키오스크와 같은 터치 기반 기술이 정보 접근에 큰 어려움이 되고 있다고 말했다. “식당의 키오스크는 시각장애인 사용이 불가능한 경우가 많아, 우리는 주문조차 할 수 없는 불편함을 겪고 있다”라며, “디지털 접근성을 높이기 위해 사용자 체감 중심의 맞춤형 기술 개발이 필요하다”라고 강조했다.
정봉근 교수(서울대학교)는 유럽접근성법(EAA)의 사례를 통해 포용적 디지털 사회로 나아가기 위해 이루어져야 할 노력을 제시했다. EAA가 장애인, 고령자 및 일시적 장애를 가진 사람까지 포괄하는 법률임을 강조하며, “한국도 포괄적이고 구체적인 법적 체계를 마련해야 한다”라고 주장했다. 특히 우리나라와 다르게 EAA가 민간기업을 우선으로 규제한다는 점에 방청객의 큰 호응이 있었다. 이어 “EAA의 실효성은 인권 보장을 명문화한 것이 아니라 기업의 시장 진출 장벽을 해소하는 데 있다”라며 “국제적 경쟁력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표준화된 접근성 기준이 필요하다”라고 설명했다.
이외에도 발표에서는 디지털 기술이 장애인에게 동등한 기회를 제공하고 삶의 질 향상에 기여할 수 있다는 점이 강조되었으며, 장애인의 디지털 경험을 향상하기 위해 사용자 중심의 혁신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나왔다. 또한, 기업 차원의 AI 기술이 고객의 일상생활에 실질적으로 편리함을 제공할 수 있는 잠재력을 지니고 있다는 언급과 함께, 접근성 개선을 위해서는 여러 부처 간의 협력이 필수적이며 공통의 기준을 설정해야 한다는 주장도 언급되었다.
세미나 중간에는 참석자와 발표자 간의 활발한 질의응답이 이어졌다. 삼성전자 등 기업 소속의 참석자들은 “기업의 접근성 투자에 대한 딜레마가 있다”라며, “경제적 이익이 없는 접근성에 대해 투자할 것인가에 대해 고민이 많다”라고 언급했다. 김동호 좌장은 “장애인 단체가 적극적으로 활동하고 요구해야 한다”라며, “유럽접근성법이 민간기업에 우선 적용된다는 점에서 우리나라에서도 이러한 발상의 전환이 필요하다”라고 강조했다.
이번 세미나에서 공통적으로 디지털 기술의 긍정적인 변화 가능성을 강조하며, 기술 발전이 장애인에게 실질적인 혜택으로 이어져야 한다고 입을 모았다. 또한, 디지털포용을 실현하기 위해 정책적 지원과 사용자 맞춤형 기술 개발의 필요성을 강조하고, 다양한 이해관계자 간의 협력이 필수적이라는 점에도 의견을 모았다. 이러한 논의가 지속되어 장애인과 모든 디지털 취약계층이 함께하는 포용적 디지털 사회가 실현되기를 기대한다.
세미나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한국장총 홈페이지’에서 활동브리핑과 자료집을 통해 확인할 수 있으며, 차주 ‘한국장총 유튜브’에 세미나 녹화 영상이 업로드될 예정이오니 많은 관심과 시청 바란다.
○ 한국장총 홈페이지: https://kofdo.kr/
○ 한국장총 유튜브: https://www.youtube.com/@kofdo1203
2024. 11. 1.
한국장애인단체총연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