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애학생 진로·직업교육 자립생활훈련 성과지표 개발

연구배경
장애학생의 자아실현 및 사회통합이라는 특수교육의 목적 아래 현장에서 진로ㆍ직업교육의 내실화에 대한 중요성이 큰 화두가 되고 있다. 장애학생의 특성이 증도ㆍ중복화되어 교육의 성과를 정확히 측정하기에 어려움이 따르는 현실에서, 교육의 목표 달성을 위한 지향점이자 준거가 마련되지 않아 충실하게 교육을 했음에도 불구하고 표면적으로 목표 달성 정도를 파악하기에 모호한 경우가 대부분이다. 

연구주제 및 방법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3가지로 설정하였는데, 첫째, 장애학생의 자립생활훈련 성과를 측정하기 위한 핵심지표는 무엇인가?, 둘째, 자립생활훈련 성과지표의 신뢰성과 타당성은 어떠한가?, 셋째, 자립생활훈련 성과지표의 영역별 변별력은 어떠한가? 이다. 

먼저, 장애학생의 자립생활훈련 성과를 측정하기 위한 핵심지표를 추출하기 위해 문헌연구와 공동연구자 협의를 통해 ‘일상생활기능’과 ‘개인ㆍ사회적 기능’으로 2개의 핵심지표를 선정하고 각 핵심지표별 2개의 영역과 20개의 하위 영역으로 총 198개 예비문항을 마련하였다. 문항 구성을 위한 대표적인 이론으로는 Brolin(1983)의 생활중심 진로교육(LCCE: Life-Centered Career Education) 모형 ICF(International Classification of Functioning) 모델(WHO, 2001)이며 2010 개정 특수교육 교육과정의 ‘진로와 직업’ 및 ‘직업과 생활’의 내용을 반영하였다. 그리고 자립생활훈련의 성과지표 개발을 위해 18명의 현장 특수교사를 통해 예비문항에 대한 내용타당도 검증을 실시한 후 2개의 
하위지표, 4개 영역 및 20개의 하위영역, 그리고 하위영역에 따른 58개의 요소와 요소별 228개 문항을 최종문항으로 선정하였다. 내용타당도가 검증된 228개의 최종문항에 따른 준거타당도, 신뢰도, 영역별 변별력을 측정하기 위해 190명의 장애학생을 대상으로 성별, 연령별, 장애등급별, 학교(급)별, 학교생활 적응정도, 통합교육 유무에 따라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전문가 집단을 통해 내용타당도 검증을 거친 228개의 성과지표 문항에 대한 본 조사를 통해 문항-전체 상관계수를 산출한 결과, ‘일상생활기능’의 문항 전체상관은 상관 크기 +0.3이상 나타났으며, ‘개인ㆍ사회적 기능’의 상관 크기는 +0.4이상으로 나타났다. 더불어 신체기능과 직업전 생활기능, 신체기능과 일상생활기능, 직업전 생활기능과 일상생활기능 및 활동과 참여 기능과 사회적 기능, 활동과 참여 기능과 개인ㆍ사회적 기능, 사회적 기능과 개인ㆍ사회적 기능이 모두 1% 수준에서 매우 유의한 정적인 상관을 이루고 있었다. 이러한 결과 역시 문항을 구성하는 요인들이 서로 유기적인 관계를 맺으면서 하나의 구인을 형성하고 있음을 나타낸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개발된 
성과지표는 타당도가 매우 높은 지표라고 할 수 있다. 

둘째, 228개의 성과지표 문항에 대한 내적일관성 신뢰도를 통해 신뢰도를 분석한 결과, 본 연구에서의 일상생활기능 문항의 내적일관성 지수 Cronbach’s ⍺는 전체 .78, 영역별로는 신체기능 .85, 직업전 생활기능 .97, 그리고 하위영역별로는 .76~.97의 범위로 나타났다. 또한 개인ㆍ사회적 기능의 내적일관성 지수 Cronbach’s ⍺는 .92, 영역별로는 활동과 참여기능 .90, 사회적 기능 .96, 그리고 하위영역별로는 .84~96의 범위를 나타냈다. 일상생활기능이 143문항, 개인ㆍ사회적 기능이 85문항, 그리고 자립생활 전체 문항이 228문항임을 감안할 때 본 성과지표의 내적일관성 신뢰도는 비교적 높은 편이라 할 수 있었다.
 
셋째, 성과지표 문항의 영역별 변별력을 검증한 결과, 성별, 연령별, 장애등급별, 학교(급)별, 학교생활 적응정도, 통합교육 유무의 총 6개 독립변인 중 ‘일상생활기능’ 영역에서는 ‘신체기능’과 ‘직업전 생활 기능’ 모두 장애등급, 학교생활 적응정도, 통합교육 유무가 의미있는 변인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개인ㆍ사회적 기능’ 영역에서는 ‘활동과 참여 기능’과 ‘사회적 기능’ 모두 장애등급과 학교생활 적응정도가 의미있는 변인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 본 연구에서 개발된 자립생활훈련 성과지표는 전문가 집단을 대상으로 이루어진 타당성과 신뢰성이 검증된 척도이며, 본 성과지표는 변인을 중심으로 자료분석, 통계분석을 동시에 시도함으로써 지표로 사용하기 위한 토대를 마련했다고 할 수 있다. 그리고 개인별 성과를 측정하기 위한 성과지표 검사지 파일을 별도로 제공함으로써 현장 활용도를 더욱 높일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향후 본 연구에서 개발된 장애학생 자립생활훈련 성과지표의 시행결과에 입각하여 장애학생 자립생활훈련 프로그램의 방향성 및 교육의 질적 측면을 제고할 필요가 있으며 표준화 절차를 거쳐 국가에서 질 관리를 할 수 있는 체제로 거듭나야 할 것이다.

발간일: 2011년 4월
출처: 국립특수교육원
[이 게시물은 최고관리자님에 의해 2017-08-19 16:24:16 정책정보에서 이동 됨]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

Language »